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완화한다면 인플레이션 억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연준이 통화정책 회의에서 올해 처음으로 금리 인하 조치를 단행한 뒤 약 일주일만으로, 추가 금리 인하와 그 폭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시사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상공회의소에서 연설을 통해 "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상방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, 고용 리스크는 하방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. 도전적인 상황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이런 양면적 리스크가 존재할 때 리스크가 전무한 선택지는 없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우리가 금리를 너무 공격적으로 완화하면 인플레이션 억제를 미완으로 남겨 놓게 되고, 나중에 인플레이션 2% 목표치를 회복하기 위해 정책을 다시 금리 인상으로 전환해야 할 수도 있다"고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이와 동시에 "긴축 정책을 너무 오랫동안 유지하면 고용 시장이 불필요하게 위축될 수 있다"고도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나치게 오랜 기간 기준금리를 높게 유지할 경우의 부작용을 함께 지적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또 "이처럼 목표인 물가안정·최대고용이 긴장 관계에 있을 때, 연준의 정책 틀은 양쪽 목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요구해왔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"고용에 대한 하방 리스크가 증가하면서 우리의 목표 달성에 있어 리스크 균형 잡기에 변화가 생겼다"며 최근 연준의 금리 인하 조치가 이뤄진 배경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"최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며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"며 "최근 데이터와 조사에 따르면 이런 가격 상승은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보다 관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관세 관련 물가 인상이 비교적 단기간에 그칠 수 있다면서도 "관세 인상은 공급망 전반에 반영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"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"일회성 수준의 물가 상승은 몇 분기에 걸쳐 확산하면서 그 기간 다소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나타날 수 있다"고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증시에 대해 "상당히 고평가된 것 같다"고 발언한 이후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.19% 밀린 46,292.78에 거래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92407433050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